본문 바로가기

링크드인 Tip! 링크드인 프로필 한글과 영문 두 가지 방법으로 입력하는 방법! 링크드인 Tip! 페이스북과 양대 산맥을 이루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링크드인이 있는대요. 프로필 이름을 만들 때 '한글과 영문' 두 가지 모두를 입력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방법은 1) 현재 이름에 한글 이름을 입력하시고 2) 개명 전 이름에 영문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페이스북도 영어로 이름이 돼 있는 분은 검색이 힘든 경우가 많아요. 따라서 잡(구인, 구인 포털) 사이트였던 링크드인, 지금은 세계 비즈니스 인맥사이트로 자리 잡은 만큼 사용하시는 분께서는 이왕이면 검색, 노출이 잘 되도록 사용해 보세요. 저도 검색을 잘 하고 싶어요~~~^^ 3) 링크드인은 데스크톱에서는 한/영 번역 지원이 되고, 모바일, 스마트폰에서는 .. 더보기
인스타그램 pc로 업로드하기 PC에서 인스타그램 사용하기! 모바일에서 인스타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계실 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데스크톱(pc)에서 인스타그램 동시에 즐기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 > 크롬 검색창으로 들어가 주세요. 2) 크롬에서 아래 사진처럼 오른쪽 상단의 마우스 포인트가 있는 곳을 클릭합니다. 이미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 돼 있는 분은 설치과정을 생략하시면 되겠죠. 3) 설정을 클릭합니다. 4) 새로운 화면이 나타나면 아래 항목을 클릭하여 '인스타그램'을 설치 한 후 로그인을 하시을 하시고요. 5) 실행 시킨 후 프로필 사진을 클릭 > 사진을 업로드 하시면 완료입니다! 간단하지만 처음은 조금 헷갈릴 수도 있어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더보기
빌 게이츠, 하버드 졸업생에게 "불평등에 맞서라"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하면서 21세기를 정보기술시대로 선도한 빌 게이츠가 자신의 20대를 회고하며 하버드 대학 졸업생들에게 인공지능(AI), 에너지, 생명공학을 세상을 바꿀 업종으로 지목했다. 게이츠는 또 이같은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궁극적으로 맞서야 할 것은 '불평등(inequity)'이라고 조언했다. 빌 게이츠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오는 25일 하버드대 졸업식을 앞두고 후배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21일(현지시간) 전했다. 게이츠는 "많은 졸업생들이 나에게 자신의 인생에 대해 문의한다"며 "나와 같이 세상에 충격을 줄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다면 3가지 분야를 권유하고 싶다"고 운을 뗐다. 그는 디지털 혁명이 일어났을 때 폴 앨런과 자신이 한 획을 그을 수 있었던 것은 매우 행운이었다며 이같은 기회.. 더보기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 해결 자주 사용하는 검색창에서 '컴퓨팅 사고력' 또는 'Computational Thinking'을 검색해 보세요. 검색 결과 해외 자료들이 많지만 번역 SW를 활용하시면 이해하시기 어렵지 않으실 거예요. 첨부한 사진과 함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 학습해 보아요. 자료는 차근 차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1.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과 가치 1)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 컴퓨팅 사고력이란 무엇일까요? 2015 개정 정보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다음 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생활과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해법을 구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즉, 컴퓨터 과학자처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 더보기
[화제 영상] 당구치는 로봇 [화제 영상] 당구치는 로봇https://youtu.be/dUBo2NrPeKw 벤 바빌(Ben Varvil)이라는 로봇 엔지니어가 당구 로봇 시제품을 개발했다. ‘디지털 트렌즈’에 따르면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벤 바빌‘은 사람과 실력을 겨룰 수 있는 당구 로봇 개발 프로젝트 ’주디스(Judith)’를 추진하고 있다. 그는 “짬짬이 시간나는대로 개발 중인 당구 로봇 개발 프로젝트”라고 주디스를 소개하며 “아직은 미니어처 규모의 목업(Mockup)에 가깝지만 앞으로 실제 사람과 겨룰수 있는 당구 로봇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직육면체 형태의 당구대에서 로봇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당구대 하단에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설치했다. 출처 - 로봇신문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