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및 경제

고개 숙인 달러…외환보유액 3천958억 달러 '사상 최대'

고개 숙인 달러외환보유액 3958억 달러 '사상 최대'

 전월 대비 증가 폭, 29개월 만에 최대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에서 위변조대응센터 직원이 달러화를 검수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미국 달러화 가치가 약세를 보인 영향으로 외환보유액이 3개월 연속 신기록을 작성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1월 말 외환보유액'을 보면 지난달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39575천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649천만 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138725천만 달러, 1238927천만 달러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으로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월간 증가액은 20154(715천만 달러 증가) 이후 최대였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가 약세를 보인 점이 외환보유액 증가로 이어졌다.유로화, 엔화 등 기타 통화로 표시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를 대상으로 산정한 미 달러화 지수는 지난달 89.1로 한 달 전보다 3.3% 하락했다. 달러화 지수 하락은 달러화 약세를 의미한다.

지난달 말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한 달 전보다 3.9%, 파운드화는 5.3%, 엔화는 3.8%, 호주 달러화는 3.7% 각각 상승했다외환보유액을 뜯어보면 유가증권(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 등)36804천만 달러로 921천만 달러 증가했다예치금(1786천만 달러)279천만 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6천만 달러 증가한 343천만 달러,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권리인 IMF 포지션은 1천만 달러 늘어난 163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주요국 외환보유액 자료를 보면 한국은 전월과 같은 9위였다. 

중국이 31399억 달러로 1, 일본이 12643억 달러로 2위였다.

38위는 스위스(8112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964억 달러), 대만(4515억 달러), 러시아(4327억 달러), 홍콩(4313억 달러), 인도(491억 달러)였다.


2018/02/02 - [경영 및 경제] - 삼성 브랜드가치 100조원…작년보다 2계단 오른 세계 4위

2018/01/08 - [IT전문가] - 인공지능 로봇시대, 밥상머리 교육이 중요한 이유


원문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2/0200000000AKR201802021373000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