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로봇공학자(Young Robot Engineer)' 코너는 로봇신문과 한국로봇학회가 공동으로 기획한 시리즈물로 미래 한국 로봇산업을 이끌어 갈 젊은 로봇 공학자를 발굴해 소개하는데 있다. 여덟번째 인터뷰어는 KIST 임세혁 박사다. 1980년생인 임 박사는 서울 출신으로 현대고를 거쳐 서강대학교에서 기계공학으로 학사 및 석사, 2012년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2013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1년여간 카네기멜론 대학교,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1년간 MIT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5년 5월부터 KIST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매커니즘 설계 △매커니즘 제어다. 2007년ㆍ2008년 서강대 우수연구원 지원 장학금, 2009년ㆍ2010년 카네기멜론대 딘 펠로우십(Dean's Fellowship), 2012년 카네기멜론대 스마터플래닛어워드(Smarter Planet Award), 2015년 URAI(유비쿼터스&지능로봇 국제콘퍼런스)에서 한국로봇학회로부터 2015 Outstanding Young Scientist Award 등을 수상했다.
A. 2015년 7월 KIST에 들어와 현재 원내에서 참여하고 있는 과제가 하나 있고, MIT 떠나기 전에 아이디어를 냈는데 마무리 하지 못해 현재 공동연구 형태로 계속 같이 하고 있는 연구가 하나 있습니다. 먼저 KIST에서 하고 있는 과제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관하는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바이오닉 암(Bionic Arm), 일명 전자의수를 개발하는 과제로 사람 신경에 조그마한 전극을 심어 사람 신경을 흐르는 전위를 뽑아내는 것입니다. 신경이 근육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사고로 손을 잃었거나 신경이 손상돼 없는 경우에 아직 신경은 살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신경에 조그마한 전극을 심어 신호를 추출합니다. 그 신호가 어느 정도 되면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낄 수 있는데, 엄지손가락을 피려고 하는 동작을 하고자 하면 모터기반의 로봇 손을 움직이는 형태입니다. KIST에서 하고 있는 일은 그 신경전극을 만들고 신경전극을 삽입하는 기구를 시스템화해 좀 더 손쉽게 하는 것 입니다. 현재는 신경수술이 오래 걸리기도 하고, 신경 외부에 굉장히 질긴 막이 있기 때문에 신경에 인터페이스를 심는 것이 쉽지 않은데 그러한 과정을 하는 바이오 인스트루먼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KIST 전체 사업단에 4개의 세부 연구단이 있는데 제가 속한 1연구단은 신경신호를 뽑는 과정을 하고, 2연구단은 바이오닉 암 즉, 로봇 팔에 들어갈 근육을 만듭니다. 3연구단은 센서를 만드는데 실제 로봇 손을 만든 다음 손끝에 촉감이 있어야 그 촉감을 다시 사람에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4연구단이 로봇 손을 만듭니다.
Q. 소재가 그럼 종이인가요? A. 요즘 소프트 로보틱스를 많이 하는데 매커니즘 설계하는 분들이 많이 그쪽으로 갔습니다. 저도 소프트 로보틱스를 하는 입장에서 보면 소프트 로보틱스가 진입장벽이 낮은 편입니다. 어느 정도 매커니즘을 하고 매뉴팩처링 경험이 있는 분들은 소프트 로보틱스가 충분히 근시일내에 팔로업 할 수 있는 분야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프트 로보틱스로 많이 간 것 같습니다. A. 제가 카네기멜론 가기 전에 서강대에서 석사를 했습니다. 그때 KIST 바이오 마이크로시스템 사업단에서 캡슐형 내시경 과제를 크게 했습니다. 그때 위탁과제로 그것을 했었는데, 그 인연으로 박사 때 카네디멜론대에서 소프트 캡슐 내시경을 하게 되었습니다. 마침 박사 때 카네기멜론대 지도교수님께서 그 과제에 초기에 참여했던 분이었습니다. 그때 지도 교수님이 소프트 로보틱스라는 개념을 캡슐 내시경에 접목해 보라고 해서 연구를 시작했는데 자기장을 이용해 캡슐을 이동하다 순간적으로 자기장을 강하게 주면 캡슐 모양이 우그러지는 데 그 우그러지는 동작을 이용해 생검(Biopsy)을 한다거나 약물 배출, 아니면 위치를 알게 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다른 구동기를 사용하지 않고 한 번에 구현하는 것입니다. A. 목표를 정해놓고 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목표라고 할 것까지는 없지만 꿈은 제가 죽기 전에 길거리에서 로봇들이 사람들과 같이 다니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부분에 제가 조금이라도 기여한 것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친구 중에 아르바이트로 막노동을 한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는 자기가 막노동했던 빌딩을 지나갈 때마다 항상 ‘이 빌딩 내가 지었다. 저 벽돌 내가 날랐다고 합니다. 그런 것처럼 저도 로봇분야에서 어느 일부분은 기여했으면 좋겠습니다. A. 저는 기본적으로 왜 그렇게 됐는지 원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지만 로봇은 사실 개발입니다. 개발이란 기존에 없는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 상상력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음악이나 미술을 잘 해 보라는 조언을 하고 싶습니다. 예술 하는 분들이 로봇을 새로 개발하면 굉장히 창의적인 것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창의성 같은 것들이 아주 중요하다고 봅니다. Q. 향후 유망한 로봇 분야가 있다면. A. 이번에 바이오닉 암 과제를 하면서 느낀 것인데 사이보그가 굉장히 재미있고 유망할 것 같습니다. 저는 완전 자동화된 과정에 의해서 운용되는 로봇 보다는 사람의 융통성과 로봇이 갖고 있는 장점을 결합하는 형태가 굉장히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A. 제가 로봇산업계에 있지 않아 어떻게 돌아가는지 사실 잘 모르지만 “걸러서 듣자”고 말하고 싶습니다. 기술에 대해서 과장하지 않고 이야기를 해주어야 산업계 있는 분들이 그것을 걸러듣지 않아도 될 정도로 담백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떤 기술에 대해 학교나 연구소에서 굉장히 과장되게 이야기하고, 그걸 받는 기업에서는 진짜인줄 알고 와보면 실제로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산업 발전을 위해 학교, 연구소에서 만든 기술과 산업계에 맞는 연결 다리가 굉장히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개발한 것은 이 정도이고, 실제 이 기술을 사용해 기업들이 이윤을 내려면 이 정도 되어야 하는데 그 기간은 어느 정도이며, 어느 정도 투자를 해야 한다고 솔직히 이야기해야 산업에 있는 분들이 의심하지 않고 충분히 투자할 것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기술을 생산하는 분들은 과장하지 말고 담백하게, 그 기술을 이용하실 분들은 걸러서 듣자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
'3DP&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제 영상] 당구치는 로봇 (0) | 2017.05.17 |
---|---|
Kodama, 이번 6 월 Kickstarter에서 $ 100 Obsidian FDM 3D 프린터 출시 (0) | 2017.05.10 |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할 차세대 직업 트렌드 (0) | 2017.05.01 |
초고속 3D프린팅 기술! 캐리마 (0) | 2017.04.30 |
규제 철폐로 ‘클라우드데이터 활성화’ 전제돼야 (0) | 2017.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