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및 경제

초등생 희망직업 ‘유튜버’ 첫 등장…교사 인기 주춤

초등생 희망직업 유튜버첫 등장교사 인기 주춤

 

운동선수 1교사는 2위로 밀려나!

고교생에선 뷰티 디자이너도 진입

학생들 희망직업 다양·구체화 경향


사진제공https://www.facebook.com/3dp.edu

장난감 개봉기 영상으로 초등학생들의 스타가 된 캐리의 모습이다. 10대들의 유튜브 사용이 늘면서, 초등학생 희망직업 중에 유튜버가 5위를 기록했다




10대들의 유튜브 사용이 늘면서 유튜버’(인터넷방송 진행자)가 초등학생 희망 직업 10위 안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지난 6~7월 전국 초··고교생 27265, 학부모 17821, 교원 2800명을 대상으로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초등학생의 희망 직업 1위는 운동선수였다. 지난 10년 동안 딱 한 해를 제외하고 부동의 1위였던 교사는 올해 2위를 기록했다. 중고생들에게도 교사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드는 추세다. 교사를 희망 직업이라고 말한 중학생은 200719.8%에서 올해 11.9%로 줄어들었다. 교사를 꼽은 고등학생도 200713.4%에서 올해는 9.3%까지 떨어졌다.

 

올해 조사에서 10위권 안에 새롭게 등장한 직업은 초등학생의 경우 유튜버(5), 중학생은 뷰티 디자이너(6)와 연주·작곡가(9), 고등학생은 뷰티 디자이너(4)와 생명·자연과학자 및 연구원(7)이다. 뷰티 디자이너는 헤어 디자이너나 메이크업 아티스트, 네일 아티스트 등을 말한다. 지난해보다 학생들의 희망 직업이 구체화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흔히 의료 관련 직업은 의사와 간호사로 양분됐지만, 올해는 의사, 간호사, 의료·보건 관련직으로 세분화됐다. 과학자나 엔지니어로만 구분되던 이공계 직업도 화학·생명·과학·컴퓨터공학자 등으로 구체화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를 보면 부모나 학교 이외에도 인터넷과 대중매체 등이 있다유튜브가 인기를 끈데다 아시안게임 등도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희망 직업을 선택한 이유 1위는 초··고 모두 내가 좋아해서였고, 2위는 내가 잘할 수 있어서였다. 3위의 경우 초등학생은 내가 아이디어를 내고 창의적으로 일할 것 같아서였고, ·고등학생은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다.


2018/11/21 - [3DP&기술] - [정규 교과 도입되는 '메이커 교육']



원문http://www.hani.co.kr/arti/PRINT/8743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