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전문가/아두이노

s4a설치하는법

'피지컬 컴퓨팅 & S4A'


스크래치에서 파생되어 나온 S4A (Scratch for Arduino) 는 아두이노를 PC 에 연결하고, 스크래치로 아두이노를 사용할 수 있는 코딩프로그램입니다

우리나라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현실이었으므로 대부분의 학교 컴퓨터 사양이 윈도우 32비트인 경우가 많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s4a'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데 무리가 없었어요. 정말 기쁜 사실이 아닐 수 없답니다. 그러면 우리함께 설치 방법과 순서를 알아보도록 할까요!

물론 학생뿐만 아니라 전자 기술을 이용해서 프로토타이핑 아이디를 구현해 보고 싶은 일반인도 대환영이에요. 그럼 출발해요~~

1단계 - 아자!

http://s4a.cat/

>> 2단계 아두이노 설치를 한 후 3단계 'here' 다시 돌아 와야 하는 사이트에요^^

S4A 사이트인 http://s4a.cat/ 으로 이동해서 상단 메뉴의 'Downloads' 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PC버전에 맞는 s4a를 다운로드 해 주세요.

S4A는 왠지 설치가 까다롭다는 생각을 저는 가지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절대 그렇지 않더라고요. 혹시 설치가 잘 안되는 분은 메일과 댓글로 문의해 주세요. 답답한 심정을 경험한 사람으로서 함께 해결하도록 하겠습니다.

2단계 - 우리모두의 친구 '아두이노' 설치

https://www.arduino.cc/

1

3단계 - 'here'


아까 1단계 's4a.cat'사이트로 다시 돌아가 주세요. 그리고 위 사진을 보시고 'here'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반드시 확장자를 ino로 저장). 그리고!

4단계 - 아래 이미지를 순서대로 진행해 주시면 되겠어요. 휴~~~

아두이노 IDE (스케치)를 실행하고 다운로드 받은 펌웨어 소스를 열어서 아두이노에 업로드 해 줍니다.

드디어 마지막 작업이네요. 펌웨어가 올라간 아두이노를 PC 에 연결하고 S4A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아두이노가 자동으로 감지되어 나타나게 되고 각 단자의 상태도 보여준답니다. 이제 Blink 예제를 만들어보기 위해서 LED 하나와 케이블, 브레드보드 등을 준비해서 아두이노에 연결!


>> 참고로 정품 보드가 아닌 경우는 아래 내용을 참조해 주세요. 그러면 설치가 될 거예요.

## 윈도우용 드라이버 ##

 

CH341SER.zip

 

혹시 윈도우10 에서 위의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된다면 아래의 드라이버 설치

 

CH341SER (2).zip


 

CH341SER.zip


CH341SER (2).zip


## OS X용 드라이버 ##

 

CH341SER_MAC.zip

 

에러메시지: ser_open(): can't open device "/dev/cu.wch": No such file or directory ioctl("TIOCMGET"): Inappropriate ioctl for device

 

드라이버를 설치 했으나 위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올 경우,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았는데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파인더에서 아두이노 IDEArduino.app 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패키지 내용보기'를 선택한다.

패키지 하위 폴더(/Arduino.app/Contents/Java/hardware/arduino/avr/)에서 다음의 2개의 파일을 찾아 텍스트 편집기로 연다.

platform.txt , programmers.txt 이 두 개의 파일에서 -P{serial.port}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찾아 "-P{serial.port}" 라고 고쳐준다.

단순히 쌍따옴표만 앞 뒤로 붙이면 된다. 그 후 IDE를 재실행 하고 업로드를 해 보면 잘 될 것이다.

 

추가사항(2016.11.29) : 위의 방법으로 아두이노의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 맥의 터미널을 열고 sudo nvram boot-args="kext-dev-mode=1" 명령어를 실행하면 인식이 된다.

 


 

출처: http://deneb21.tistory.com/188 [Do It Yourself!]